배우 강하늘의 새로운 얼굴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된다.
26일 오전 서울 광진구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에서 영화 ‘스트리밍’ 제작보고회가 개최됐다. 이날 자리에는 배우 강하늘, 조장호 감독이 참석했다.
‘스트리밍’은 구독자 수 1위의 범죄 채널 스트리머 ‘우상(강하늘)’이 풀리지 않던 연쇄살인사건의 단서를 발견하고 범인을 추적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방송하며 벌어지는 스릴러 영화로 소설 ‘휴거 1992’와 ‘저스티스’를 통해 범죄 스릴러 장르의 믿고 보는 창작자로 인정받은 조장호 감독이 메가폰을 잡아 섬세하고 짜임새 있는 연출력으로 실시간 방송의 세계를 완벽 재현했다.
조장호 감독은 “제가 스마트폰을 늦게 썼는데 당연히 유튜브라는 매체도 늦게 접하게 됐다. 한번 보다 보니 헤어 나올 수가 없더라. 매체에 매혹이 됐다는 말이 맞다. 제가 범죄 이야기를 쓰는 사람으로서 이 매체를 꼭 이용해서 쓰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그 과정에서 여러 범죄 유튜버들을 찾아보게 됐고, 소재를 사용하게 됐다”라며 연출 계기를 전했다.
‘스트리밍’에는 ‘오징어 게임 시즌2’, ‘동백꽃 필 무렵’, ‘청년경찰’, ‘30일’, ‘동주’ 등 장르를 불문하고 탄탄한 연기력을 입증해 온 강하늘이 구독자 수 1위의 범죄 전문 채널 스트리머 ‘우상’으로 파격 변신을 선보인다.
조장호 감독은 “처음부터 강하늘을 생각하고 있었다. 잠깐 함께 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 강하늘에게 많은 감동을 받았다. 태도나 느낌이 좋아서 저 사람과 작품을 하면 제대로 작품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을 해서 쓰기 시작했는데 갑자기 군대를 가더라. 의도치 않게 군대 기간을 기다리면서 작업을 해나가고 있었다. 그리고 나서 강하늘이 ‘동백꽃 필 무렵’을 찍으면서 너무 뜨거운 배우가 되어 버렸다. 과연 출연해줄까 싶었는데 다행히 하겠다고 해서 너무 고마웠다”라고 설명했다.
강하늘은 대본만 보고도 작품에 매료됐다. 그는 “대본 자체에서도 1인칭으로 스트리밍하는 느낌으로 적혀있었다. 지금까지 봐온 대본의 느낌과 많이 달랐다. 좋은 기분이었고 되게 신선하다는 느낌이었고 해보고 싶다는 느낌이 많이 들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감독님이 몇 년을 기다린지 몰랐다. 대본을 읽은 순간에 할 수밖에 없었다. 대본을 읽는데 ‘다음 장이 어떻게 되지’ 생각이 났고 할 수밖에 없었다”라고 덧붙였다.
‘우상’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핫한 범죄 채널 스트리머로 구독자 수 1위를 오랜 기간 유지 중이다. 냉철한 분석력, 치밀한 연구로 미제 범죄 사건들을 프로파일링하고 타고난 감각으로 시청자들을 방송으로 끌어들이는 매력까지 겸비했다. ‘우상’은 강하늘을 만나 더욱 입체적인 캐릭터로 살아났다.
강하늘은 “우상은 구독자수 1위를 유지하고 있는 친구로서 자신감을 넘어서 자만감에 찌들어있다. 허세스럽고 굉장히 시선이 자기 밖에 있는 사람이다. 그래서 의상팀에서도 그렇고 소품팀에서도 그렇고 많은 걸 신경 많이 써주셨다. 허세 가득한 것들로 준비해주셨다. 저도 거기에 맞게 할 수 있게 해서 캐릭터 표현을 편하게 할 수 있었다”라며 “이런 캐릭터가 처음인데, 캐릭터 성격을 표현한다기보다 영화가 가지고 있는 형식이 특이해서 유튜브 이런 걸 보면서 특징이나 이럴 때 뭔가 시청자로서 볼 때 장단점을 분석하면서 캐릭터를 구축하려고 노력했다”라고 설명했다.
머리를 쓸어 올리는 습관 설정이 용이한 올백 헤어에 눈길이 가는 문신까지 기존의 이미지를 벗어던진 외적인 스타일링의 디테일도 놓치지 않았다. 그는 “일반적인 촬영을 할 때 많은 연기자들이 머리를 만지는 게 조금 어렵다. 카메라가 바꿔가면서 여러 번을 찍어야 하기 때문에 바뀐 머리가 똑같아야 하지 않나. 때문에 자제하면서 촬영하는 부분이 많은데 우리 작품은 카메라가 실시간이지 않나. 그래서 내가 뭘 하든 상관 없기 때문에 그렇다면 편하게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스타일이기 때문에 행동이 여러 가지 들어가면 라이브함을 살릴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라고 말했다.
또한 강하늘의 애드리브로 탄생한 ‘자 여러분들 이제 진짜로 갑니다’라는 대사는 자신감 넘치는 ‘우상’의 성격을 완벽하게 표현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서는 “대사량이 솔직히 많았다. 영화에서는 만나기 힘든 정도의 대사량이었던 것 같다. 공연이나 연극을 할 때는 독백도 많고 하다 보니 대사가 많은데 영화에서는 보통 이 정도의 대사량은 없었던 것 같다. 그런데 하니까 되더라”라며 “첫 번째 테이크 때는 대사만 했는데 대사만 했는데 실시간 라이브 같은 느낌이 아닌 거다. 대사는 이거지만 조금 더 편안하고 말 같은 느낌으로 바꾸려고 노력했던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조장호 감독은 “강하늘이 한 작품을 많이 보고 했는데 이렇게 민낯을 드러난 역을 한 적은 없다. 정말 새롭게 강하늘 배우를 보여줄 수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는 “이 작품을 준비하면서 1년 동안 하루 10시간 정도 유튜브를 봤다. 어느 순간 제가 생각들을 가지게 된 게 유튜버들이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말하는데 그걸 확신에 차서 말하니까 보는 사람도 보다 보니 자연스럽게 그걸 믿게 되더라. 그런 저를 발견하고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게 필요하고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면서 어떤 작품을 해야겠다는 확신을 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평소 사이버렉카가 부정적인 시선을 가지고 있다. 유튜브를 많이 볼 때가 6~7년 전이다. 그때도 그런 문제가 많이 있지 않았을까. 개인의 정제된 생각을 진리인 것처럼 말하는 게 문제이지 않을까. 그게 영화에서도 드러나고 있는 게 주인공 우상이 하고 있는 말들이 100% 맞는 건 아닌데 영화를 보다 보면 사실인 것처럼 믿게 되는 순간이 있다. 사이버렉카를 보면서 부정적으로 생각했던 것들이 영화에 녹아들지 않았나”라고 밝혔다.
[자양동(서울)=손진아 MK스포츠 기자]